콘라드존슨 프리앰프 간단정리~
2006.03.22 15:11

Audio Research 프리앰프 간단 정리에 이어서, 이번엔 그 2탄으로 Conrad-Johnson 프리앰프 간단정리 들어갑니다~ ^^ 콘라드존슨 홈페이지 (www.conradjohnson.com) 에 각 기종에 대한 자세한 기술적인 설명들이 나와 있으니 참고 하시길.
Audio Research 사와 함께 미국 하이엔드 진공관 앰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Conrad-Johnson 사는 1970년대 초 경제학 박사인 William Conrad 와 Lewis Johnson 두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오디오리서치가 엔지니어인 William Z. Johnson 의해 설립된 반면, 콘라드존슨은 순수한 오디오 동호인들에 의해 설립 된 점이 특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점이 회사를 이끌어나가는데 좀 더 유연한 자세와 대처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었겠지요. 두 회사의 차이점은 슬로건에서도 확인할 수 있죠. ㅎ (오디오리서치 - High Definition / 콘라드존슨 - It just sounds right)
콘라드존슨사는 버지니아주 페어펙스에 위치하고 있고, 현재 18명의 직원이 대부분 생산라인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규모가 작지요? 적지않은 앰프들을 차질없이 생산, 판매하기 위해서 30년 가까이 쌓아온 경영 노하우가 위력을 발휘하는것 같습니다. 근래에 들어 멀티채널앰프 전문 생산업체인 McCormack 사와 제휴를 맺고 20여종 가까운 모델들의 생산도 함께 병행하고 있다고 하니 대단하지요.
콘라드존슨의 프리앰프군은 조금 복잡하게 분류되는데, 먼저 진공관 프리앰프는 중,저가의 대중적인 시리즈며, 전통적인 진공관 프리앰프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PV 와, 하이엔드 유져를 겨냥한 현대적인 사운드의 Premier 시리즈 (프리미어기종은 프리와 파워앰프가 모두 포함되며, PR1, 4, 5, 8, 11, 12 는 파워앰프, 6 는 포노앰프, PR18 은 solid state 프리앰프입니다.), 단발적으로 생산되었던 evolution 모델, 20주년 기념모델인 ART 와 그 후속모델인 ACT2, ART 와 ACT2 의 저렴버젼인 CT, 그리고 solid state 기종들인 PF (Preamplifier Fet) 시리즈, 멀티채널 프리앰프인 MET1 으로 나뉘어집니다.
콘라드존슨의 프리앰프는 PF 시리즈와 PR18 을 제외하면 모두 진공관타입이며, 오디오리서치의 dual triode 와 같은 개념의 composite triode 제품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콘라드존슨은 1977년 이들의 첫 제품인 PV1 을 시장에 내놓은 이후 지금까지 총 32종의 프리앰프를 생산하였고, 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PV – PV1, 2, 3, 4, 5, 6, 7, 8, 9, 10, 10B, 11, 12, 14L2, 15 (역시 불길한 13은 빠졌습니다~ ^^)
PR – PR2, 3, 7, 10, 14, 16, 17, 18 (solid state)
PF – PF1, 2, PFR
EV (Evolution) – EV20
ART (Anniversary Reference Triode Preamplifier)
ACT2
CT – CT5, 6
Multichannel Preamplifier - MET1

PV (Preamplifier Vacuum tube)
PV1 (1977)
콘라드존슨사의 첫 프리앰프로 4개의 12ax7 관과 2개의 5751관을 사용하였습니다. 특이한 점은 12ax7관의 호환관인 5751관을 사용했다는 점인데, 5751관은 군용관으로 게인이 12ax7관보다 약 10% 이상 낮다고 알려져 있지요. 앰프의 디자인은 마란츠 프리와 비슷합니다.
PV2 (1980)
1980년에 출시되어 2A, 2AR 등으로 업그레이드되었던 모델입니다. 12AX7관 1개, 5751관 2개 이외에 12AT7관 3개를 추가하였습니다.
PV3 (1982)
1960년대이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던 kit 형태의 진공관 프리앰프 이기도 합니다. 가격은 완제품이 $399, kit 형태의 제품이 $299 이었다고 하네요.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콘라드존슨 사운드를 즐길 수 있는 모델이고 생긴 모습도 아주 귀엽습니다. 12AX7관 3개와 12AT7관 1개가 장착되었습니다.
PV4 (1983)
PV3 와 같이 저렴하지만 기존 앰프의 성능은 유지하는 컨셉으로 개발되었습니다. 12AX7관 3개와 12AT7관 2개가 장착되었습니다.
PV5 (1984)
디자인이나 기술적인 면에서 콘라드존슨 프리앰프의 전형을 제시한 최초의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시 많은 평론가들과 유져들 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던 초기 콘라드존슨의 대표 기종입니다. 12AX7관 2개, 5751관 4개, 그리고 5965관 2개가 장착되었습니다.
PV6 (1984)
디자인과 내부구조에서 PV2 를 계승한 모델이며, 저항과 콘덴서 등을 업그레이드하였다고 하네요 12AX7관 1개, 5751관 3개, 12AT7관 2개를 장착한 모델입니다.
PV7 (1986)
S/N 비 증가에 역점을 두어 개발된 모델로, 12AX7관 3개, 12AT7관 2개가 장착된 모델입니다.

PV8 (1988) $1,700
기술적으로 PV5 를 계승한 모델이라 할 수 있으며, 콘라드존슨 최초의 ‘all tube zero feedback’ 디자인의 제품이라고 하네요. 12AX7, 5751, 5965관이 각각 2개씩 장착되었습니다.

PV9 & PV9A (1988, 1991) $3,000
역시 ‘all tube zero feedback’ 디자인 제품입니다. PV9 과 PV9a 두가지 버전이 있으며 PV9a 의 경우, 5965관 대신 6FQ7관을 음극 접지형 증폭회로 단에 장착을 하였습니다.
PV10, PV10A & PV10AL (1989, 1992, 1993) $1,200 ~ 1,500
기술적으로 PV7 을 계승한 모델이며, 라인스테이지인 PV10AL 까지 3가지 버전이 출시되었던 인기 기종입니다. PV 계열 프리앰프들중 대중적인 사랑을 많이 받았던 모델이죠. 12AX7, 12AT7, 5751관이 장착되었으며, PV10A 버전의 경우 5751관 대신 12AU7관이 사용되었습니다.


PV11 & PV11L (1990, 1991) $1,900
‘all tube zero feedback’ 디자인의 PV8 계승 버전이며, 12AX7, 5751관 이외에 2개의 12AU7관을 라인단 장착하여 음질 향상을 가져왔다고 합니다.

PV12, PV12A & PV12AL (1993, 1997, 1997) $2,600
역시 ‘all tube zero feedback’ 디자인 제품이며, PV11 과 같이 12AX7, 5751, 12AU7관이 장착되었습니다.

PV10B (2000) $1,200
PV10 의 회로와 PV12 의 라인단을 기술적으로 융합한 제품으로 12AX7, 5751관 이외에 2개의 6189관이 장착되었습니다. 라인스테이지 모델인 PV10BL 도 함께 출시되었네요.
PV14L2 (현재 생산중) $2,000 ~ 5,000
전통적인 PV 계열 프리앰프의 디자인에서 벗어난 현대적인 모습의 버튼식 모델로 ‘all tube zero feedback’ 디자인의 제품입니다. 6C4관이 장착되었습니다. 사진의 밑에있는 앰프는 포노앰프입니다.

PV15 (현재 생산중) $2,800 ~ 3,600 (with phono stage)
AV 시스템의 콘트롤까지 염두에 둔 PV 계열의 현역기로, 버튼식의 현대적 디자인에 6922관 4개를 장착하였습니다.
PR (Preamplifier Premier)
PR2 (1981)
파워앰프인 PR1 과 짝을 이루는 진공관 프리앰프로, 다이나믹레인지, 공간감, 저음콘트롤 등에 개발의 초점을 맞춘 모델입니다. 12AX7, 5751, 5965, 12X4관등이 장착되었습니다.
PR3 (1983) $2,900
콘라드존슨의 트레이드마크인 CJD 폴리스티렌 필름 콘덴서를 사용한 최초의 프리앰프이며, 평론가들에게도 그 사운드의 우수성을 높게 평가 받았던 모델이기도 합니다.

PR7, PR7A & PR7B (1988, 1990, 1992)
오디오리서치의 전원부 분리형 프리앰프 출시에 자극받아 개발된 듀얼 모노모노 전원부 분리형 4덩어리 기종입니다.
PR10 (1992) $3,500
듀얼 모노 구조의 프리앰프로 채널이 분리된 기종입니다. PR7 의 통합 버전이라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6GK5관 4개가 장착되었습니다.
PR14 (1995) $4,400
프리미어 모델들중 최초로 리모컨이 부가된 기종이며, 디자인도 현대적으로 바뀌었습니다. PR10 과 같이 6GK5관 4개가 장착된 모델입니다.

PR16LS (1998) $8,000
6발의 6922 장착한 ‘a single-chassis stereo version of the ART’ 버전입니다. 20주년 기념 모델인 ART 기종의 전원부를 독립시키지 않은 일체형 기종이죠.

PR17LS (2002) $4,500 ~ 6,000
PR16LS 의 저렴한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R18LS (2002 ~ ) $3,500
프리미어 모델들 최초의 solid state 기종입니다. 디자인은 PR17LS 와 유사하네요.

PF (Preamplifier Fet)
PF1 & PF1L (1990, 1991) $1,400
오랜 기간 연구개발에 의해 출시된 콘라드존슨 최초의 solid state 프리앰프입니다.

PF2 & PF2L (1992, 1992) $1,400 ~ 1,800
PF1 에서 포노단이 개선된 모델이라고 하네요.

PFR (1996) $2,800
리모컨 사용 가능한 버튼위주의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변모된 모델이며, 기술적으로도 향상을 가져왔다고 합니다.

EV (Evolution)
EV20 & EV20SE (1990, 1992) $5,000
PV 와 PF 시리즈의 장점을 모아놓은 앰프라는 concept 으로 개발된 기종입니다. 듀얼 모노구성이며, PR7 의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하네요. EV2000 파워와 짝을 이룹니다.
ART (Anniversary Reference Triode Preamplifier)
ART (1996) $15,000
설립 20주년 기념으로 개발된 모델로서 7년동안 250대만 생산, 판매가 되었다고 하네요. ‘composite triode’ 기술이 적용되었고 전원부가 분리된 콘라드존슨의 역작으로, 당시 많은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던 대표 기종입니다. 6922 관 4개를 장착하였습니다.

ACT (Anniversary Conrad-Johnson Triode Preamplifier)
ACT2 (2005 ~ ) $13,500
콘라드존슨의 레퍼런스 프리인 ART 의 후속모델로, 6922 관 10개와 6N30P 2개 장착하였으며, 역시 ‘composite triode’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적용한 기종입니다.

CT (Composite Triode)
CT5 (현재 판매중) $7.500
6N30P관 2개를 장착하였고, ACT2 의 기술을 계승하여 적용시킨 기종이며, 현재 판매중인 모델입니다.

CT6 (현재 판매중) $4,500
6922관 4개를 장착한 모델로, CT5 보다 좀 더 저렴하게 개발된 기종입니다.

Multichannel Preamplifier
MET1 (현재 판매중) $7,500
6채널 진공관 아날로그 프리앰프로, AV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멀티채널 기종입니다. 6C4 진공관 4개가 장착되었습니다.

댓글 14
-
박성준
2006.03.22 15:13
좋은자료를 올려주시니 백골이 난망입니다!^^ 모욱동님 쓰시는 게 모죠? -
김준호
2006.03.22 15:26
PR7, PR7A & PR7B (1988, 1990, 1992)
오디오리서치의 전원부 분리형 프리앰프 출시에 자극받아 개발된 듀얼 모노모노 전원부 분리형 4덩어리 기종인 것 같네요...ㅎㅎㅎ
모욱동님께서 워낙 덩어리 많은 걸 좋아하셔서...
ㅋㅋㅋ
-
김준호
2006.03.22 15:27
저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그런데...
혹시 이 글..웹진으로 옮겨 많은 분들이 쉽게 읽어보실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은데..
그래도 좋겠지요? -
이형민
2006.03.22 16:02
두분 추천 감사드립니다~ ^^ 제가 오늘중으로 사진 사이즈 좀 보기좋게 조절한 후에 내일쯤 왭진으로 옮겨 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오영모
2006.03.22 17:15
와!!!!
또 올려주셨네요...
이렇게, 오됴를 체계적으로 하시는 분, 존경스럽슴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리오며.......
-
임정훈
2006.03.22 17:19
OTL 경의를 표합니다! -
박성준
2006.03.22 17:57
컨라드 죤슨도 OTL 이 나오나요? ㅋㅋㅋ -
이형민
2006.03.22 19:43
ㅎ 오됴를 체계적으로 하진 몬하구 자료만 체계적으루 함 모아봤습니다~ 오영모님, 임정훈님 과분한 칭찬 감사합니당 ^^ -
장동기
2006.03.22 22:05
이렇게 해 주시는 김에 콘라드 파워앰프도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가 너무 뻔뻔한가요?
-
이형민
2006.03.23 00:13
조만간 파워앰프도 함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류택성
2006.11.24 20:18
감사합니다. 콘라드 존슨에 관심을 가지고 찿아보고 있었는데 샵 사장들도 정확히는 모르고 잇어서 더 궁금 했었는데.. 감사드립니다.
파워도 좀 부탁드리면....
pv11 과 mv52 조합이 좋을가요? 하나더 여쭤 봅니다. 감사합니다. -
이형민
2006.12.02 10:33
저도 콘라드존슨 앰프를 들여놓고 사용해본적은 없어 정확한 조언은 드릴 입장이 못됩니다만, 일단 순정조합의 경우 상성에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콘라드존슨의 파워앰프군은 프리에 비해 그 종류가 다양한편은 아니더군요. 1979년 출시된 75w 용량의 MV75 를 시작으로 이듬해 나온 45w 용량의 MV45 에 이르러 어느정도 완성도를 갖추어 그 이후 MV50 (1985년출시), MV52(1985년출시), MV55(1995년출시) 등으로 계속 업그레이드를 시켜나간것 같습니다.
고로 프리와 파워가 함께 제짝으로 출시되는 타회사와 달리 적당한 매칭으로 판매가되어 왔다고 볼 수 있겠네요. 샵에서 자주 볼수있는 기종은 주로 MV50 과 MV52 인데, 기왕이면 업버젼인 MV52 가 나을것 같은 느낌입니다~ 프리의 경우는 PV10,11,12 등이 무난하리라 생각되구요~^^
-
류택성
2006.12.05 11:41
좋은 글 감사 합니다. -
이선모
2007.02.04 21:06
진공관 앰프를 좋아하는 저를 위해 써 주신거 같습니다. ^^
감사 합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
49 |
eBay에서 하이엔드(?) 침압계 구입 신고합니다.
[1] ![]() | 김재성 | 2018.03.31 | 328 |
48 | SME Turntable 부품,소모품 주문 [2] | 이인호 | 2014.01.21 | 1766 |
47 |
제19편 이완근님 탐방기
[9] ![]() | 하이파이뮤직 | 2008.12.24 | 19671 |
46 |
2008 진공관 오디오 페어 - 2
![]() | 하이파이뮤직 | 2008.12.17 | 11253 |
45 |
솔리톤 탐방기
[1] ![]() | 하이파이뮤직 | 2008.10.29 | 11848 |
44 |
2008 진공관 오디오 페어 - 1
![]() | 하이파이뮤직 | 2008.10.23 | 9120 |
43 |
2008 동경 수입 오디오쇼 탐방기 - 2부
[3] ![]() | 하이파이뮤직 | 2008.10.10 | 7646 |
42 |
2008 동경 수입 오디오쇼 탐방기 - 1부
![]() | 하이파이뮤직 | 2008.10.10 | 8745 |
41 |
Review: 패시브 프리 비청회
[5] ![]() | 하이파이뮤직 | 2008.03.21 | 13556 |
40 |
제18편 장동기님 탐방기
[5] ![]() | 하이파이뮤직 | 2007.06.19 | 22328 |
39 |
제17편 박성준지휘자님 탐방기
[10] ![]() | 하이파이뮤직 | 2007.04.23 | 22094 |
38 | Krell 앰프 간단정리~ [11] | 이형민 | 2006.12.13 | 24529 |
37 | Mark Levinson 앰프 간단정리~ [8] | 이형민 | 2006.12.03 | 22183 |
36 |
제16편 박찬익님 탐방기
[6] ![]() | 하이파이뮤직 | 2006.11.20 | 20904 |
35 |
제15편 남윤상님 탐방기
[6] ![]() | 하이파이뮤직 | 2006.09.06 | 18301 |
» |
콘라드존슨 프리앰프 간단정리~
[14] ![]() | 이형민 | 2006.03.22 | 19350 |
33 |
오디오리서치 프리앰프 간단 정리~
[9] ![]() | 이형민 | 2006.03.12 | 29131 |
32 |
제14편 바왕 조우형님 탐방기
[5] ![]() | 하이파이뮤직 | 2005.08.24 | 22787 |
31 |
두개의 우리 앰프 이야기
[1] ![]() | 하이파이뮤직 | 2005.06.27 | 18741 |
30 |
부메스터 991인티앰프 리뷰
[4] ![]() | 하이파이뮤직 | 2005.03.14 | 15620 |